국내 현존 유일 성냥 제조 윤전기
역사적 희소성 공식 인정 받아

의성성냥공장윤전기
의성성냥공장 윤전기. 의성군제공
의성군은 의성성냥공장의 윤전기가 국가유산청이 새로 도입한 ‘근현대 예비문화유산’으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선정은 국내에 현존하는 유일한 성냥 제조 윤전기로서 역사적 희소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성과다.

‘근현대 예비문화유산’ 제도는 건설·제작·형성된 지 50년이 지나지 않은 근현대 문화유산 중, 향후 등록문화유산으로 보존 가치가 높은 자원을 선제적으로 발굴해 미래 문화자원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올해 처음 도입됐다.

선정된 윤전기는 성냥의 두약을 성냥개비에 자동으로 입히는 핵심 설비로, 수작업 중심의 생산 체계에서 기계화·대량 생산 체제로의 전환을 이끌며 의성 근현대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성광성냥공장은 1954년 설립돼 1960년대에는 약 200여 명의 근로자가 하루 약 20만 보루를 생산하며 의성 지역 경제의 한 축을 담당했다. 현재 의성군은 폐산업시설 문화재생사업을 추진 중이며, 2026년 리모델링 공사에 착수해 2027년 하반기 준공할 예정이다. 윤전기는 새로 조성되는 시설 내에서 의성의 산업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전시 자원으로 활용될 계획이다.

김주수 의성군수는 “이번 근현대 예비문화유산 선정을 통해 윤전기가 단순한 기계를 넘어 미래 문화유산으로서 잠재적 가치를 인정받았다”며, “체계적인 보존과 활용을 통해 의성의 근현대 산업사를 재조명하고, 이를 지역의 대표 문화자산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김병태기자 btkim@idaegu.co.kr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