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최선희 외무상은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들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재확인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한 데 대해 14일 "가장 강력한 수사적 표현을 이용해 단호히 규탄 배격한다"고 밝혔다.

최 외무상은 이날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에 'G7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권적 선택을 거스를 권리가 없다'는 제목의 담화를 게재하고, G7의 성명이 "우리 국가 헌법에 대한 직접적 침해"라고 주장했다.

그는 "세인이 실현 불가능한 개념이라고 인정하는 '비핵화'를 아직까지도 습관적으로 합창하는 G7의 집념은 스스로를 국제사회의 변두리로 몰아가는 것일 뿐"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최 외무상은 "오늘의 엄혹한 지정학적 환경 속에서 핵보유는 가장 위험하고 적대적인 국가들을 억제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선택"이라고 강조하며, 그 누구도 북한에 위헌을 강요하거나 개헌을 시도할 권리가 없다고 주장했다.

최 외무상은 한반도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는 길은 비현실적인 비핵화를 주창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헌법을 존중하는 데 있다고 역설했다.

또한 G7을 "세계 최대의 핵보유국을 위시해 핵으로 연결되고 결탁된 핵동맹집단"이라고 비판하며, 북한을 향한 비핵화 요구가 "현실도피적이며 이중기준적인 처사"라고 맹비난했다.

그는 "외부의 핵위협이 종식되지 않고 핵을 폭제의 수단으로 삼는 세력이 존재하는 한 핵보유를 영구화한 헌법에 끝까지 충실함으로써 국가와 인민의 현재와 미래를 담보하려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의지는 확고부동하다"고 강조하며, 북한의 핵보유는 싫든 좋든 변함없는 현실로 남아있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앞서 미국을 포함한 G7 외교장관들은 12일(현지시간) 캐나다에서 회의를 진행하고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의 핵·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규탄하고,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른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원칙을 재확인한 바 있다.

최 외무상의 이번 담화는 이러한 G7의 요구를 전면적으로 거부하며,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 인정을 전제로 향후 핵군축 협상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진오기자 kimjo@idaegu.co.kr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