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노쇼(NO-Show)사기 더 이상 노!노!(No No)
허옥연 경산경찰서 경무과 경무계장·경감

전국적으로 공무원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범죄인 '노쇼사기' 피해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사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각별한 주의와 함께 예방 및 근절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노쇼(NO-Show)사기란 공무원·군인·경찰 등 공공기관을 사칭해 자영업자 및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물품 구입 등의 대량 주문을 넣고, 업체 알선을 통한 선금 요구나 대리구매를 유도해 금전을 편취하는 신종 사기 수법이다.

노쇼사기는 공통적으로 2단계 속임 구조를 가진다. 1단계로는 피해자가 운영하는 업체의 물품을 먼저 주문하여 신뢰를 쌓고, 2단계에서는 다른 업체 물품을 대신 구매해달라며 "나중에 함께 결제하겠다"는 말을 덧붙여 대리 구매를 요청한다. 사기범의 목적은 결국 2단계 대리구매 금액 편취에 있다. 실제 피해 사례를 보면 피해 규모와 방식이 다양하다. 경산·포남에서는 대구시청 직원을 사칭해 화재감지기 등을 대리 구매해 달라고 속여 총 3억 2,800만원을 편취하였고, 포북·김천에서는 포항교도소 직원을 사칭해 살균소독기를 대리 구매해 달라고 속여 총 1억 3천450만원을 편취하는 등 경북 도내 전 지역에서 물품구매 사기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공공기관의 신뢰'를 악용한다는 점이다. 가해자들은 관공서의 직함이나 문서 양식을 그대로 복제하고, 전화번호나 메신저·프로필 사진도 실제 기관 로고로 꾸미며, 일부는 실제 공무원 이름을 도용하기도 한다. 피해자가 거래 전 확인을 소홀히 하면 진위를 구분하기 어렵다. 특히, "기관에서 나중에 지급하겠다", "결제 내역은 서류로 증빙하겠다"는 말에 속아 송금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으나, 공공기관은 개인에게 대리 결제나 대납을 요청하는 일이 절대 없다는 점을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사기를 예방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 노쇼사기 예방수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거래는 모든 것이 가짜일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가질 것. 둘째, 대량 주문이 들어오면 반드시 주문한 공공기관 사무실에 직접 재확인할 것. 셋째, 취급하지 않는 물품의 대리구매 요청은 전형적인 노쇼 사기임을 기억할 것. 따라서 주문자의 신원을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실제 근무자의 이름을 도용했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주문 내용에 대한 사실관계를 명확히 파악해야 한다. 거래 전에 해당 기관에 직접 연락해 사실 여부를 확인하고, 선입금을 요청한다면 무조건 의심부터 해야 한다.

노쇼사기 예방을 위해 경산경찰서에서는 관내 소상공인연합회와 핫라인을 구축하여 112신고 접수 상황을 실시간 문자로 공유·전파하고, 읍·면·동사무소에 홍보 포스터를 배부, 한국외식업중앙회 경북지회 경산시지부와 협업해 예방 포스터 발송, 맘카페 등 SNS에 예방 포스터 게시, 찾아가는 범죄예방교육 등 다양한 방법으로 홍보를 추진하며 피해 방지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신종 사기 수법 예방은 개인의 문제를 넘어 지역사회 전체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다. 노쇼사기는 단순한 재산 피해를 넘어 어려운 상황의 자영업자들에게 깊은 상실감과 치명타를 주는 악질 범죄이다. 우리 모두가 주의를 기울이고 피해 사례를 공유하며 예방수칙을 실천한다면, 노쇼사기 수법은 더 이상 우리 사회에 쉽게 발붙일 수 없을 것이다. 유사 사례를 목격하거나 피해가 의심될 경우, 즉시 112에 신고해 주시길 바란다.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