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유율은 1%p올라 58.4%
우리 국민의 자가 보유율과 자가점유율이 전년보다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토교통부의 2024년 주거 실태조사에 따르면 자가 보유율은 전년(60.7%)보다 0.7%포인트 오른 61.4%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도 지역(69.4%), 광역시 등(63.5%), 수도권(55.6%) 순으로 자가 보유율이 높았다.
자가점유율은 1.0%포인트 상승한 58.4%였으며 지역별로는 도 지역(66.5%), 광역시 등(60.0%), 수도권(52.7%) 순으로 높았다.
점유 형태는 자가(58.4%)에 이어 임차(38.0%), 무상(3.6%)이 뒤를 이었다.
중위수 기준 자가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 가격 비율은 6.3배로 전년과 같았고 임차가구의 월 소득 대비 월 임대료 비율도 전년과 같은 15.8%로 집계됐다.
1인당 주거 면적은 36.0㎡,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비중은 전년(3.6%)보다 0.2%포인트 증가한 3.8%였다. 평균 거주기간은 전년(8년)보다 0.4년이 늘어난 8.4년, 주거 이동률은 전년(32.2%)보다 감소한 30.3%로 나타났다.
김홍철기자 khc@idaegu.co.kr
16일 국토교통부의 2024년 주거 실태조사에 따르면 자가 보유율은 전년(60.7%)보다 0.7%포인트 오른 61.4%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도 지역(69.4%), 광역시 등(63.5%), 수도권(55.6%) 순으로 자가 보유율이 높았다.
자가점유율은 1.0%포인트 상승한 58.4%였으며 지역별로는 도 지역(66.5%), 광역시 등(60.0%), 수도권(52.7%) 순으로 높았다.
점유 형태는 자가(58.4%)에 이어 임차(38.0%), 무상(3.6%)이 뒤를 이었다.
중위수 기준 자가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 가격 비율은 6.3배로 전년과 같았고 임차가구의 월 소득 대비 월 임대료 비율도 전년과 같은 15.8%로 집계됐다.
1인당 주거 면적은 36.0㎡,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비중은 전년(3.6%)보다 0.2%포인트 증가한 3.8%였다. 평균 거주기간은 전년(8년)보다 0.4년이 늘어난 8.4년, 주거 이동률은 전년(32.2%)보다 감소한 30.3%로 나타났다.
김홍철기자 khc@idaeg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