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구매 기준
배추 20%↑, 생강 14.3%↑
무는 33%↓·천일염 40%↓
“배추 출하량 늘면 안정될 것
김장 적기, 12월 초·중순” 전망
전통시장의 김장비용이 4인 가족 기준 33만8천원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배추 가격은 올랐지만 무나 천일염 등의 가격이 내려 전체 김장비용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다.
16일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김장재료(4인 기준)를 전통시장에서 구매한 비용은 33만8천500원, 대형마트는 40만4천280원으로 각각 지난해보다 2.1%와 1.2% 소폭 늘었다.
전통시장 기준으로 배추(20포기) 가격은 지난해 10만원에서 올해 12만원으로 20.0% 올랐다. 총각무(3단)는 1만5천원으로 11.1% 올랐고 쪽파(2단)는 20.0% 오른 2만4천원이다. 생강(800g)은 8천원으로 14.3% 올랐고 멸치액젓(1㎏)도 6천500원으로 8.33% 뛰었다.
반면 작황이 좋은 무(10개) 가격은 지난해 3만원에서 올해 2만원으로 33.3%, 대파(2단)는 6천원에서 5천원으로 16.7% 내렸다. 천일염(5㎏)은 1만원에서 6천원으로, 새우젓(1㎏)은 2만원에서 1만5천원으로 각각 40.0%와 25.0% 저렴해졌다.
태양초 고춧가루(3㎏)는 9만5천원, 깐마늘(2.4㎏)은 2만4천원으로 각각 지난해와 가격이 같았다.
이동훈 물가정보 팀장은 “김장용 배추 품질이 충분히 좋아지고 김장에 적합한 온도가 될 때까지 기다려 2주가량 늦게 김장하길 권한다”며 “김장비용은 상품성이 좋은 배추 출하량이 늘면서 점차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김장 적정 시기는 일 평균기온이 4도 이하, 일 최저기온이 0도 이하로 유지될 때다.
물가정보는 중부지방(서울·경기·충청)은 11월 하순에서 12월 초, 남부지방(전라·경상)은 12월 초에서 중순, 해안과 남해안 지역은 12월 중순 이후가 각각 김장 적기라고 조언했다.
강나리기자 nnal2@idaeg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