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검찰총장 대행으로 구자현 대검 차장이 부임하였다. 그러나 그의 어깨는 어느 때보다 무겁게 되었다. 정치권에 의해 검찰개혁의 미명 아래 2026년 9월 검찰청 폐지라는 거대한 제도 변화가 예고된 상황에서, 이번 '대장동 항소 포기' 사태로 촉발된 조직 내부 반발로 가져온 해당 기관의 수장인 중앙지검장과 검찰총장 대행의 사퇴는, 지금의 검찰 환경이 얼마나 내·외부적으로 취약한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다.
따라서 구 대행은 정치권과 검찰 조직이 정면충돌 직전에 선 상황에서, 조직을 안정시키면서도 법적·제도적 원칙을 지키는 해법을 찾아야 하는 난제에 직면해 있다. 이를 의식한 구 대행은 임명 당일 "검찰 조직이 안정화되고 자기 일들을 성실하게 할 수 있도록 제가 돕는 게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짧게 말하고 '항소 포기' 논란 등 예민한 문제들에 대해선 별다른 말을 내놓진 않았다.
이번 사태는 이재명 대통령과 관련되어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대장동 사건의 1심 판결에 대한 검찰의 불투명한 항소 포기로 야기된 것이다. 또한 그 과정에서 외압이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될 수 있는 지휘부의 태도 때문이다. '대장동 사건' 수사·공판팀은 항소에 대해 지휘부 보고가 끝날 때까지 아무런 이견 없어 절차가 마무리돼 항소장 제출만 남겨둔 상황에서, 항소 기한 마감이 임박한 시점에 다시 '항소 금지'라는 부당하고 전례 없는 지시가 내려졌다"라고 반발함에 따라 불거졌다. 그 결과 많은 검사장들을 비롯한 검찰 내부의 격렬한 반발이 야기되었고, 사건을 지휘한 중앙지검장과 검찰총장 대행은 사퇴하기에 이르런 것이다. 이는 자칫 제2의 '채상병 사건'을 불러오게[ 할 수 있는 중요한 사안이다.
이제 공은 구자현 대행에게 넘어갔다. 향후 검찰의 역할과 사명을 재정립해야 하는 중대한 기로에 직면해 있는 지금, 구 대행은 이번 사퇴가 불러온 어수선한 조직 내부를 조속히 안정시키는 한편, 무차별적인 정치권의 압박에 대해서는 조직을 보호해야 하는 정치력도 발휘해야 한다. 그러나 정치권의 압박과 조직 내부 동요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려는 '저자세 행보'나 모호한 태도를 보일 경우에는 현재의 위기를 수습하기는커녕 더 깊은 혼란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제 구 대행에게 요구되는 역할은 단순한 조직 관리가 아니라, 정치와 법, 제도와 현실 사이에서 균형을 잡고, 검찰이라는 기관의 최소한의 독립성과 품위를 지켜내는 일이다. 지금 필요한 것은 충성 경쟁도, 감정 섞인 대립도 아니다. 흔들리는 검찰의 역할에 대해 국민의 신뢰 회복을 통해 조직을 안정시키는 조용하지만 단단한 리더십이다.
따라서 구 대행은 정치권과 검찰 조직이 정면충돌 직전에 선 상황에서, 조직을 안정시키면서도 법적·제도적 원칙을 지키는 해법을 찾아야 하는 난제에 직면해 있다. 이를 의식한 구 대행은 임명 당일 "검찰 조직이 안정화되고 자기 일들을 성실하게 할 수 있도록 제가 돕는 게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짧게 말하고 '항소 포기' 논란 등 예민한 문제들에 대해선 별다른 말을 내놓진 않았다.
이번 사태는 이재명 대통령과 관련되어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대장동 사건의 1심 판결에 대한 검찰의 불투명한 항소 포기로 야기된 것이다. 또한 그 과정에서 외압이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될 수 있는 지휘부의 태도 때문이다. '대장동 사건' 수사·공판팀은 항소에 대해 지휘부 보고가 끝날 때까지 아무런 이견 없어 절차가 마무리돼 항소장 제출만 남겨둔 상황에서, 항소 기한 마감이 임박한 시점에 다시 '항소 금지'라는 부당하고 전례 없는 지시가 내려졌다"라고 반발함에 따라 불거졌다. 그 결과 많은 검사장들을 비롯한 검찰 내부의 격렬한 반발이 야기되었고, 사건을 지휘한 중앙지검장과 검찰총장 대행은 사퇴하기에 이르런 것이다. 이는 자칫 제2의 '채상병 사건'을 불러오게[ 할 수 있는 중요한 사안이다.
이제 공은 구자현 대행에게 넘어갔다. 향후 검찰의 역할과 사명을 재정립해야 하는 중대한 기로에 직면해 있는 지금, 구 대행은 이번 사퇴가 불러온 어수선한 조직 내부를 조속히 안정시키는 한편, 무차별적인 정치권의 압박에 대해서는 조직을 보호해야 하는 정치력도 발휘해야 한다. 그러나 정치권의 압박과 조직 내부 동요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려는 '저자세 행보'나 모호한 태도를 보일 경우에는 현재의 위기를 수습하기는커녕 더 깊은 혼란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제 구 대행에게 요구되는 역할은 단순한 조직 관리가 아니라, 정치와 법, 제도와 현실 사이에서 균형을 잡고, 검찰이라는 기관의 최소한의 독립성과 품위를 지켜내는 일이다. 지금 필요한 것은 충성 경쟁도, 감정 섞인 대립도 아니다. 흔들리는 검찰의 역할에 대해 국민의 신뢰 회복을 통해 조직을 안정시키는 조용하지만 단단한 리더십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