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대의원·권리당원 투표권
규정 개정 통해 ‘열린 공천’ 방침
국힘, 소속 광역·기초단체장 대상
개인 PT 반영 지역 기여도 평가

국민의힘은 내년 6·3 지방선거 공천에 현직 광역·기초단체장이 본인의 임기 중 성과를 설명하는 ‘PT(프리젠테이션) 평가’를 도입키로 했다. 국민의힘은 당헌·당규를 개정해 내달 초 현직 광역·기초 지자체장들을 상대로 평가에 들어간다. 정점식 국민의힘 선출직 공직자 평가혁신 태스크포스(TF) 위원장은 17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민의힘 소속 지역의 단체장이 민선 8기 동안 어느 정도 지역 발전에 기여해 왔는지를 평가할 예정이다”며 이같이 말했다. TF는 광역·기초단체장 평가 구성도 공개했다. 정량 지표 50%(경제 지표·리더십 지표·당 기여 지표), 개인 PT 20%, 여론조사 30% 등이다.
정점식 위원장은 “정량 지표 중 ‘지역경제 발전 및 혁신 노력 평가’는 지방정부의 핵심 책무인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집중적으로 다룰 예정”이라며 “고용률, 투자 유치 등 예산 확보, 재정 건전성 등 객관적 성과 지표 등을 기반으로 평가를 진행할 것이다”고 말했다. 특히 지방 단체장 평가에서 PT 평가를 도입한 게 특징이다. 이를 위해 당헌·당규도 고친다. TF는 공천에 평가 시스템을 적용한다는 내용을 당헌에 반영하고 공천관리위원회가 해당 절차를 적용한다는 내용을 당규에 마련할 예정이다.

더불어민주당은 ‘1인 1표 시대’를 위한 정책 마련에 본격 돌입했다. 크게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투표권을 동일하게 부과한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오는 19~20일 전(全) 당원 투표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그간 당 대표·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투표 반영 비율이 20:1 미만이었던 규정을 개정해 투표권을 동일하게 부여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1인 1표제’는 정 대표의 경선 핵심 공약이었던 당원주권주의 정책 중 하나다.
당원이 전면적으로 참여해 당의 후보를 공천하는 ‘열린 공천 시스템’도 마련될 방침이다. 지방선거 경선 후보자가 4인 이상일 경우엔 예비 경선을 시행하는 규정으로 예비 후보자 검증위원회를 통과한 후보는 누구라도 경선을 치를 수 있다. 예비경선은 권리당원 100% 경선으로 진행된다.
구체적으로는 검증위를 통과한 예비 후보가 4인 이상일 시 권리당원 100% 참여로 1차 조별 예비 경선을 치른 후 2차 본선에서 권리당원 50%와 일반 국민 50% 선호 투표제를 통해 50% 이상 득표자를 후보로 결정하는 ‘결선 투표제’를 도입한다.
기초·광역 비례대표 선출 방식도 변경할 예정이다. 현재는 각급 상무위원이 비례대표 순위를 선정하지만 개정안에 따라 권리당원의 100% 투표로 순위를 선정한다.
이지연·류예지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