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한미 정상회담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와 한미안보협의회(SCM) 공동성명에 대해 "국가의 주권과 안전이익, 지역의 평화수호를 위한 보다 당위적이며 현실대응적인 조치를 취해나갈 것"이라고 비판적 논평을 내놨다.
조선중앙통신은 18일 논평에서 "공동 합의 문서들은 우리 국가에 끝까지 적대적이려는 미한의 대결 의지와 더욱 위험하게 진화될 미한동맹의 미래를 진상하고 있다"며 이같은 입장을 내놨다.
이날 논평은 한미 정상회담 공동 팩트시트와 SCM 공동성명이 지난 14일 발표된 지 4일 만에 북한이 내놓은 공식 반응이다.
북한은 한미정상회담 합의 발표에 대해선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 기조가 가장 선명하게 드러난 계기"라며 "미국이 한국과 함께 수뇌급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완전한 비핵화'를 확약한 것은 우리의 헌법을 끝까지 부정하려는 대결의지의 집중적 표현"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이로써 현 미행정부가 추구하는 대조선 정책의 진속과 향방을 놓고 언론들과 전문가들속에서 분분하던 논의에는 마침내 종지부가 찍혔다"며 "우리는 물론 전반적 국제사회가 미국의 대조선 입장에 대한 보다 확실한 견해를 가지게 됐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또, 한미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표현을 쓴 것을 두고는 "우리 국가의 실체와 실존을 부정한 것"이라며 반발했다.
특히, 한국의 핵추진잠수함(원자력추진잠수함) 건조 승인에 대해서는 "조선반도지역을 초월하여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군사안전 형세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전지구적 범위에서 핵 통제 불능의 상황을 초래하는 엄중한 사태발전"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핵잠수함 보유는 '자체 핵무장'의 길로 나가기 위한 포석으로서 이것은 불피코 지역에서의 '핵 도미노 현상'을 초래하고 보다 치열한 군비경쟁을 유발하게 돼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북한은 이번 팩트시트 및 SCM 공동성명에 대한 반응을 당국자 명의의 공식 성명이나 담화가 아닌 조선중앙통신 논평 형식으로 냈고, 트럼프 대통령이나 이재명 대통령을 실명 비난하지 않았다.
논평은 주민들이 접하는 대내용 매체인 노동신문에는 실리지 않았다. 이기동기자 leekd@idaeg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