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외국인 매도로 지수↓
개인 홀로 1조2천억 순매수
AI 거품론·美 금리 우려 작용
미국 기준금리 인하 속도 조절 우려와 인공지능(AI) 버블 논란 재점화 여파에 코스피가 18일 3% 이상 급락하며 4천선을 내줬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장 대비 135.63포인트(3.32%) 내린 3,953.62로 장을 마쳤다. 코스피가 종가 기준 4천선 밑으로 주저앉은 건 이달 7일 이후 7거래일 만에 처음이다. 코스피 지수는 44.78포인트(1.10%) 내린 4,044.47로 출발한 직후 4,072.41까지 내림폭을 줄였으나 꾸준히 낙폭을 키워 오후 1시 22분께 3,953.26까지 후퇴하기도 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은 6천768억원을 순매도했고 금융투자와 연기금은 각각 4천287억원과 594억원 매도 우위를 보였다. 외국인도 5천502억원을 순매도했으나 개인은 홀로 1조2천414억원을 순매수하며 저점 매수에 나섰다. 코스피200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7천146억원 매도 우위를, 기관과 개인은 각각 6천255억원과 830억원 매수 우위를 나타냈다.
이날 증시 하락세는 AI 거품론이 꺼지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마저 쪼그라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간밤 뉴욕 증시는 3대 주가지수가 동반 하락했다. 필립 제퍼슨 연방준비제도(연준·Fed) 부의장이 통화정책 방향과 관련해 “천천히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면서 연준이 내달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할 것이란 기대가 약화한 점이 시장 충격으로 이어졌다.
기술계 억만장자 피터 틸이 지난 3분기 AI 최대 테마주 엔비디아 주식을 전량 매도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AI 주식에 대한 거품 논란이 재고조되기도 했다.
이날 코스닥 지수는 23.97포인트(2.66%) 내린 878.70으로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3.05포인트(0.34%) 내린 899.62로 개장한 뒤 낙폭을 확대하는 흐름을 보였다. 코스닥 시장에서 개인은 3천843억원을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천857억원과 1천185억원을 순매도한 것으로 집계됐다.
강나리기자 nnal2@idaegu.co.kr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장 대비 135.63포인트(3.32%) 내린 3,953.62로 장을 마쳤다. 코스피가 종가 기준 4천선 밑으로 주저앉은 건 이달 7일 이후 7거래일 만에 처음이다. 코스피 지수는 44.78포인트(1.10%) 내린 4,044.47로 출발한 직후 4,072.41까지 내림폭을 줄였으나 꾸준히 낙폭을 키워 오후 1시 22분께 3,953.26까지 후퇴하기도 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은 6천768억원을 순매도했고 금융투자와 연기금은 각각 4천287억원과 594억원 매도 우위를 보였다. 외국인도 5천502억원을 순매도했으나 개인은 홀로 1조2천414억원을 순매수하며 저점 매수에 나섰다. 코스피200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7천146억원 매도 우위를, 기관과 개인은 각각 6천255억원과 830억원 매수 우위를 나타냈다.
이날 증시 하락세는 AI 거품론이 꺼지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마저 쪼그라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간밤 뉴욕 증시는 3대 주가지수가 동반 하락했다. 필립 제퍼슨 연방준비제도(연준·Fed) 부의장이 통화정책 방향과 관련해 “천천히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면서 연준이 내달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할 것이란 기대가 약화한 점이 시장 충격으로 이어졌다.
기술계 억만장자 피터 틸이 지난 3분기 AI 최대 테마주 엔비디아 주식을 전량 매도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AI 주식에 대한 거품 논란이 재고조되기도 했다.
이날 코스닥 지수는 23.97포인트(2.66%) 내린 878.70으로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3.05포인트(0.34%) 내린 899.62로 개장한 뒤 낙폭을 확대하는 흐름을 보였다. 코스닥 시장에서 개인은 3천843억원을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천857억원과 1천185억원을 순매도한 것으로 집계됐다.
강나리기자 nnal2@idaeg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