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3분기 가계 신용 통계
2분기 말 대비 14조9천억 늘어분기 증가폭은 40% 감소세
주택담보대출 11조6천억 증가
올 3분기 전체 가계 부채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또다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18일 한국은행의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천968조3천억원으로 2분기 말(1천953조3천억원) 대비 14조9천억원 늘어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장 많았다. 다만 분기 증가 폭은 역대 최대였던 2분기(25조1천억원)보다 약 10조원(40%) 감소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다. 가계신용은 통화 긴축 기조 속에 지난해 1분기 3조1천억원 줄었지만 한 분기 만에 반등한 뒤 올해 3분기까지 6개 분기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 대금)을 뺀 가계대출만 보면 3분기 말 잔액이 1천845조원으로 전 분기 말(1천833조1천억원)보다 12조원 불었다. 증가액은 전 분기(+23조6천억원)의 약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잔액 1천159조6천억원)이 11조6천억원 증가했고 신용대출과 증권사 신용공여 등을 포함한 기타대출(잔액 685조4천억원)도 3천억원 늘었다.
대출 창구별로는 예금은행에서 가계대출(잔액 1천3조8천억원)이 3개월 새 10조1천억원 늘었다. 주택담보대출은 10조9천억원 늘었으나 기타대출은 8천억원 줄었다.
상호금융·상호저축은행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잔액 316조2천억원)도 2조원 불어났다. 지난해 4분기 이후 4개 분기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증가 폭은 2분기 3조원보다 줄었다.
한은 관계자는 “6·27 대책으로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줄고 신용대출 한도가 차주별 연소득 이내로 축소되면서 신용대출이 감소세로 돌아서 전체 가계대출 증가 폭도 2분기보다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3분기 가계신용이 0.8% 늘어 증가세가 둔화한 데다 3분기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실질 GDP 성장률(1.7%)로 미뤄 3분기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강나리기자 nnal2@idaegu.co.kr
18일 한국은행의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천968조3천억원으로 2분기 말(1천953조3천억원) 대비 14조9천억원 늘어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장 많았다. 다만 분기 증가 폭은 역대 최대였던 2분기(25조1천억원)보다 약 10조원(40%) 감소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다. 가계신용은 통화 긴축 기조 속에 지난해 1분기 3조1천억원 줄었지만 한 분기 만에 반등한 뒤 올해 3분기까지 6개 분기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 대금)을 뺀 가계대출만 보면 3분기 말 잔액이 1천845조원으로 전 분기 말(1천833조1천억원)보다 12조원 불었다. 증가액은 전 분기(+23조6천억원)의 약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잔액 1천159조6천억원)이 11조6천억원 증가했고 신용대출과 증권사 신용공여 등을 포함한 기타대출(잔액 685조4천억원)도 3천억원 늘었다.
대출 창구별로는 예금은행에서 가계대출(잔액 1천3조8천억원)이 3개월 새 10조1천억원 늘었다. 주택담보대출은 10조9천억원 늘었으나 기타대출은 8천억원 줄었다.
상호금융·상호저축은행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잔액 316조2천억원)도 2조원 불어났다. 지난해 4분기 이후 4개 분기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증가 폭은 2분기 3조원보다 줄었다.
한은 관계자는 “6·27 대책으로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줄고 신용대출 한도가 차주별 연소득 이내로 축소되면서 신용대출이 감소세로 돌아서 전체 가계대출 증가 폭도 2분기보다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3분기 가계신용이 0.8% 늘어 증가세가 둔화한 데다 3분기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실질 GDP 성장률(1.7%)로 미뤄 3분기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강나리기자 nnal2@idaeg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