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검찰의 ‘쿠팡 퇴직금 불기소 외압 의혹’ 수사를 위한 상설특검 임명 다음 날 쿠팡 임원급 인사와 오찬 회동을 했다는 의혹이 불거지자 “악의적 공작”이라며 반발하며 법적 조치를 예고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인 서 의원은 지난 18일 김정욱 대한변호사협회장과 쿠팡 상무이자 대한변협 간부인 A씨와 오찬 회동을 한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의 중심에 섰다. 특히 이 오찬은 이재명 대통령이 ‘쿠팡 퇴직금 수사 외압 의혹’ 상설특검을 임명한 지 불과 하루 만에 이뤄졌다는 점에서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의혹은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에게 전달된 ‘서 의원의 오찬 회동이 부적절하다’는 취지의 문자메시지가 언론에 포착되면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에 서 의원은 1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찬 논란에 대해 “악의적 공작”이라며 강력하게 반박했다.
서 의원은 “저는 대한변호사협회장과 오찬을 한 것이지, 쿠팡 상무와 오찬 한 것이 아니다”라며 “대한변협은 제가 담당하는 직능단체”라고 밝혔다. A씨에 대해서는 “대한변협에 수행을 온 사람들이 같이 있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서 의원은 자신이 쿠팡 퇴직금 수사 외압 의혹을 가장 강력하게 제기하며 특검을 주장했던 사람이라며 “쿠팡이 저에게 로비하러 들어오면 그건 바보 아니냐”고 반문했다.
서 의원은 이번 논란을 “윤석열 정부와 국방 수사 외압을 비호하기 위한 시도”이자 ‘함정’이라고 지적하고 문자메시지를 유포한 자와 국민의힘의 논평에 대해 “법적 조치를 취하고 끝까지 추적해서 처벌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서 의원의 해명을 ‘억지’로 규정하며 공세를 펼쳤다.
박성훈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오찬에 동석한 A씨가 “민주당 보좌관 출신이자 쿠팡 상무 신분을 그대로 유지한 채 대한변협 정무이사를 겸하고 있는 사람”이라고 지적했다.
나경원 의원은 이번 회동을 두고 “특검 수사 신뢰를 심각히 훼손하는 정황이며 특검은 민주당 손아귀에 있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고 비판했고 김용태 국민의힘 의원은 과거 서 의원이 대법원장 회동설을 제기했던 잣대를 들며 “서 의원 본인이 거취 표명을 하셔야 하는 게 아닌가”라고 압박했다.
서 의원은 거듭 “잘못이 없다”며 의혹을 부인하고 법적 대응 방침을 밝혀 당분간 이를 둘러싼 여야의 공방이 계속될 전망이다.
김진오기자 kimjo@idaegu.co.kr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인 서 의원은 지난 18일 김정욱 대한변호사협회장과 쿠팡 상무이자 대한변협 간부인 A씨와 오찬 회동을 한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의 중심에 섰다. 특히 이 오찬은 이재명 대통령이 ‘쿠팡 퇴직금 수사 외압 의혹’ 상설특검을 임명한 지 불과 하루 만에 이뤄졌다는 점에서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의혹은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에게 전달된 ‘서 의원의 오찬 회동이 부적절하다’는 취지의 문자메시지가 언론에 포착되면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에 서 의원은 1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찬 논란에 대해 “악의적 공작”이라며 강력하게 반박했다.
서 의원은 “저는 대한변호사협회장과 오찬을 한 것이지, 쿠팡 상무와 오찬 한 것이 아니다”라며 “대한변협은 제가 담당하는 직능단체”라고 밝혔다. A씨에 대해서는 “대한변협에 수행을 온 사람들이 같이 있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서 의원은 자신이 쿠팡 퇴직금 수사 외압 의혹을 가장 강력하게 제기하며 특검을 주장했던 사람이라며 “쿠팡이 저에게 로비하러 들어오면 그건 바보 아니냐”고 반문했다.
서 의원은 이번 논란을 “윤석열 정부와 국방 수사 외압을 비호하기 위한 시도”이자 ‘함정’이라고 지적하고 문자메시지를 유포한 자와 국민의힘의 논평에 대해 “법적 조치를 취하고 끝까지 추적해서 처벌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서 의원의 해명을 ‘억지’로 규정하며 공세를 펼쳤다.
박성훈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오찬에 동석한 A씨가 “민주당 보좌관 출신이자 쿠팡 상무 신분을 그대로 유지한 채 대한변협 정무이사를 겸하고 있는 사람”이라고 지적했다.
나경원 의원은 이번 회동을 두고 “특검 수사 신뢰를 심각히 훼손하는 정황이며 특검은 민주당 손아귀에 있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고 비판했고 김용태 국민의힘 의원은 과거 서 의원이 대법원장 회동설을 제기했던 잣대를 들며 “서 의원 본인이 거취 표명을 하셔야 하는 게 아닌가”라고 압박했다.
서 의원은 거듭 “잘못이 없다”며 의혹을 부인하고 법적 대응 방침을 밝혀 당분간 이를 둘러싼 여야의 공방이 계속될 전망이다.
김진오기자 kimjo@idaeg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