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6·3 지방선거를 앞두고 범야권에서 보수통합론이 확산하고 있다. 국민의힘이 비상계엄을 사과하고 개혁신당과 합당 또는 연대해야 하며 당명도 바꾸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내년 지방선거에 대한 여론조사에서는 국민의힘의 지지도가 더욱 낮아지고 있어 계속 이렇게 가다가는 필패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중도층에서도 국민의힘이 환골탈태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권영진·이성권 등 국민의힘 재선 의원들로 구성된 ‘대안과 책임’이라는 공부 모임 의원들은 지난 21일 장동혁 대표와 회동했다. 이 자리에서 이들 재선 의원들은 국민의힘이 ‘반성과 성찰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2025 코라시아 포럼’에서도 국민의힘과 개혁신당 간의 보수통합론이 거론돼 다시 화제가 되고 있다. 장동혁 대표도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모든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했다.

우선 거론된 것이 윤 전 대통령의 계엄에 대한 사과이다. 장 대표와 ‘대안과 책임’의 회동에서 장 대표가 취임 100일인 오는 12월 3일 계엄에 대한 사과와 윤 전 대통령과의 절연 등을 선언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던 것으로 전해진다. 국민의힘 4선 이상 중진 모임에서도 같은 주장이 나왔고 비대위원장을 맡았던 김용태 의원도 같은 주장을 했다. 중도층 확장을 위해서는 윤 전 대통령의 다리를 건너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당명을 바꾸자는 의견도 많았다 한다. 엄태영 의원은 텔레그램 방에서 ‘당명을 바꾸고 재창당 수준에의 결단이 필요하다’고 했다. 과거와 단절하고 새롭게 출발하지 않으면 ‘주전자 속 개구리’처럼 된다며 빌드업 타이밍을 놓치면 안 된다고도 했다. 일리가 있는 주장으로 들린다. 범야권에서는 이런 조치들이 현실화하면 개혁신당과 합당 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한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의 입장도 미묘하게 달라지고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 18~20일 전국 만 18세 이상 1천 명을 조사한 지지도 결과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이 43%, 국민의힘이 24%를 기록했다. 내년 지방선거 조사에서도 여당 후보가 이겨야 한다는 응답은 42%, 야당 후보 승리 응답자는 35%였다. 국민의힘이 재창당 수준의 환골탈태가 없으면 앞날이 암담하다. 재창당 수준의 변화와 쇄신이 있어야만 한다.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