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 발전 전략 포럼 개최
“인구 기준 50만서 30만명으로”
“면적요건 폐지·정성적 기준 적용”
경북 산업도시 기능·필요성 강조
초광역 연대 기반 입법 제안도

구미시는 지난 21일 시청 대강당에서 ‘지방시대 발전 전략 포럼’을 열고 대도시 특례 확보를 위한 시민 공론화의 장을 마련했다. 다음 달 22일 국회에서 열릴 ‘인구 50만 대도시 기준 완화를 위한 4개 도시 연합포럼’을 앞두고 전략 방향을 점검하고 시민 인식을 공유하기 위한 자리다.
이번 포럼에서는 인구 50만 명 기준을 30만 명으로 완화하는 방안과 동구미역 신설, 구미역-신공항선 연결 등 동서철도선 구축 필요성이 집중 논의됐다.
기조강연에서 하혜수 경북대 교수는 비수도권 대도시 쇠퇴 현실을 지적하며 “일본 중핵시처럼 인구 기준 완화와 면적 요건 폐지가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현욱 경기대 교수는 구미의 산업·생활권 특성을 근거로 한 대도시 특례 지정 필요성과 시민 주도 전략을 제안했다.
지정토론에서는 산업 거점 도시로서 구미의 실질 행정 수요가 100만 도시에 가깝다는 점이 제기되며 면적 기준 합리화와 정성적 기준 도입 등 입법 전략의 중요성이 논의됐다. 동구미역 신설과 포항 신항만을 잇는 신규 철도노선, 경북 내 산업·물류 협업을 통한 지역 경쟁력 강화 방안도 제안됐다.
전문가들은 특례 지정 시 조직·인력 등 행정 역량 준비와 초광역 연대, 초당적 입법 추진의 필요성을 조언했다. 정성현 구미시 부시장은 “지역이 스스로 미래를 설계해야 할 시점”이라며 “구미가 지방분권의 중심 도시로 자리매김하도록 정책 대응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최규열기자 choi6699@idaeg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