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서구, 대구시에 공식 제안
“관광객 유치·생산유발 효과
기후위기 대응 등 도움 기대”

달성습지(사진) 일대에는 지난해 기준 129과 253종의 동물, 80과 326분류군의 식물 서식이 확인돼 생태·문화적 가치가 높다. 달서구 제공

대구의 달성습지, 화원유원지, 대명유수지 일대의 뛰어난 천혜의 생태 공간을 연결한 국가정원 조성 필요성이 공식 제기됐다.

대구 달서구가 달성습지, 화원유원지, 대명유수지를 통합한 국가정원 조성 계획을 대구시에 공식 제안했다. 달성습지를 중심으로 대구 서부권 생태 관광 벨트를 조성해 친환경 관광 거점으로 만들자는 구상이다.

이태훈 대구 달서구청장은 24일 구청 4층 대회의실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달성습지, 화원유원지, 대명유수지 등 면적 248만5천370㎡ 일대를 통합 개발해 국가정원으로 조성하자는 계획을 밝혔다. 달서구는 해당 구역이 국가정원으로 지정되면 연간 수백만명 이상의 국내외 관광객 유치 및 관련 산업 전반에 걸쳐 많게는 1조원 이상 생산유발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추산했다. 또 대구의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높임과 동시에 국가로부터 약 21억원 이상 운영비와 관리비를 지원받아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고 도시열섬 현상 완화, 홍수 예방 등 기후위기 대응에 도움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달서구는 △에코전망대 △달성습지 생태학습관 △디아크 문화관·보행교 △달성습지 철새보호 추진 △하중도 내 생태쉼터 조성 등 관련 사업과 연계해 대구를 글로벌 생태 관광도시로 한단계 도약하는 계기로 만들 계획이다. 이에 내년 자체 용역을 발주해 달성습지는 생태보전존으로, 화원유원지를 문화레저존으로, 대명유수지를 수변예술존으로 각각 조성하는 구성안을 대구시와 함께 논의한다.

이태훈 달서구청장은 “달성습지는 대구가 가진 마지막 천혜의 생태 보고로 이곳을 중심으로 대구의 미래 도시전략을 산업중심에서 생태중심으로 재설계할 때다”며 “오늘 발표한 제안이 대구의 미래를 결정할 마중물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아람기자 aram@idaegu.co.kr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