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與 주장 강해 접점 어려워
李 대통령 외압 의혹 규명 초점”
與 “검찰 항명·조작 기소 초점”
필리버스터 진행 두고도 맞서

여야 원내 지도부가 25일 검찰의 ‘대장동 항소포기 의혹’ 국정조사 방식을 두고 다시 협상 테이블에 앉았으나 끝내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이견만 확인했다. 양측은 네 차례에 걸친 협의에도 국정조사 추진 주체를 놓고 팽팽한 신경전을 이어가면서 정국 경색이 심화되는 양상이다.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유상범 원내운영수석부대표,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2+2 회동’을 가졌다.

회동을 마친 뒤 유 수석은 “국민의힘은 국회 차원의 특별위원회 구성을 주장하는 반면 민주당은 법제사법위원회 국정조사를 고수하고 있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며 “추후에 다시 논의하는 것으로 정리했다”고 밝혔다.

조사 목적도 극명히 대비되면서 갈등의 골은 깊어지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대통령의 외압 의혹 규명에 방점을 찍는 반면 민주당은 검찰의 ‘항명 및 조작 기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여야는 내년 6·3 지방선거를 앞두고 중요한 의제인 정치개혁특별위원회구성에 대한 합의도 당내 의견 수렴을 거쳐 다음으로 미루기로 했다. 정개특위는 선거구획정안 마련과 지구당 부활 등 핵심 쟁점을 다룰 예정이다. 특히 국민의힘이 예고한 오는 27일 본회의에서의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 진행 여부를 두고도 양당은 강하게 맞섰다.

문 수석은 필리버스터 문제를 27일 오전 11시 재논의하기로 했다고 밝혔으나 유 수석은 “필리버스터 문제는 양당이 논의할 사안이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유 수석은 “거대 여당인 민주당의 어떤 양보도 없는 상태에서 국민의힘이 의견을 전달하는 최후의 수단”임을 강조하며 협상 여지를 닫았다.

대장동 국정조사 방식과 필리버스터 등 주요 현안에 대한 여야의 팽팽한 대치로 인해 27일 본회의를 앞둔 재논의에서 극적인 타결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김진오기자 kimjo@idaegu.co.kr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