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교위 행감
반환 절차 점검·개발계획 촉구
“항상 대답 똑같아” 적극행정 당부
대구시의회가 기부대양여 방식으로 추진되는 군부대 이전사업에 대해 속도전과 함께 특별법 제정 등 조속한 추진을 촉구했다.
건설교통위원회는 11일 대구시 군사시설이전정책관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국군부대 합의각서 체결과 이전지 군사시설보호구역 지정계획, 캠프워커 서편부지 및 47보급소 반환협상 등 군부대 이전사업과 캠프조지 반환부지 개발 등 미군 반환부지 관련 사업을 집중 질의했다.
허시영 위원장은 반환 가시권에 들어선 캠프조지 유치원부지 반환 절차 완료 시기를 점검하고 주변 아파트와의 통합 개발 시 노후 주거지를 연계한 개발계획 수립을 촉구했다.
김정옥 위원은 기부대양여 방식과 관련해 재원 조달, 비용부담, 주민 갈등, 환경 문제 등 주요 문제들에 대한 해결 대책을 따져 물은 뒤 “수익성 확보 방안으로 특별법이라도 제정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임인환 위원은 올해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했으나 여전히 SOFA과제 협상에서 난항을 겪는 수창동 주한미군 47보급소를 두고 “시가 제출하는 자료를 보면 대답이 항상 똑같다”며 시의 적극적인 추진을 당부했다.
황순자 위원은 군부대 통합 이전 사업의 부지 개발계획과 사업성 분석을 포함한 군사시설 이전 협의 절차 전반을 점검했으며 김지만 위원은 안정적인 재원확보의 중요성을 지적하고 미군과의 포괄협정 체결을 위해 군공항과 미군부대 이전을 분리하는 투트랙 전략을 제안했다.
조경구 위원은 양여부지(후적지)에는 아파트를 배제한 새로운 앵커시설 유치를 촉구했고 캠프워커 서편도로 건설사업 추진의 전반적인 문제를 지적했다.
이동욱 위원은 군위 지역으로 확정된 군부대 통합 이전지 주변 지정 군사시설보호구역의 문제들을 질타하고 북구 50사단 부대 이전 시 주변 지역의 상권 공동화를 우려해 주민 설득을 위한 공청회 개최를 당부했다.
이지연기자 ljy@idaegu.co.kr
건설교통위원회는 11일 대구시 군사시설이전정책관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국군부대 합의각서 체결과 이전지 군사시설보호구역 지정계획, 캠프워커 서편부지 및 47보급소 반환협상 등 군부대 이전사업과 캠프조지 반환부지 개발 등 미군 반환부지 관련 사업을 집중 질의했다.
허시영 위원장은 반환 가시권에 들어선 캠프조지 유치원부지 반환 절차 완료 시기를 점검하고 주변 아파트와의 통합 개발 시 노후 주거지를 연계한 개발계획 수립을 촉구했다.
김정옥 위원은 기부대양여 방식과 관련해 재원 조달, 비용부담, 주민 갈등, 환경 문제 등 주요 문제들에 대한 해결 대책을 따져 물은 뒤 “수익성 확보 방안으로 특별법이라도 제정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임인환 위원은 올해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했으나 여전히 SOFA과제 협상에서 난항을 겪는 수창동 주한미군 47보급소를 두고 “시가 제출하는 자료를 보면 대답이 항상 똑같다”며 시의 적극적인 추진을 당부했다.
황순자 위원은 군부대 통합 이전 사업의 부지 개발계획과 사업성 분석을 포함한 군사시설 이전 협의 절차 전반을 점검했으며 김지만 위원은 안정적인 재원확보의 중요성을 지적하고 미군과의 포괄협정 체결을 위해 군공항과 미군부대 이전을 분리하는 투트랙 전략을 제안했다.
조경구 위원은 양여부지(후적지)에는 아파트를 배제한 새로운 앵커시설 유치를 촉구했고 캠프워커 서편도로 건설사업 추진의 전반적인 문제를 지적했다.
이동욱 위원은 군위 지역으로 확정된 군부대 통합 이전지 주변 지정 군사시설보호구역의 문제들을 질타하고 북구 50사단 부대 이전 시 주변 지역의 상권 공동화를 우려해 주민 설득을 위한 공청회 개최를 당부했다.
이지연기자 ljy@idaeg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