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사무감사서 지적

 
대구의료원의 장애인 고용률이 의무 기준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면서 1억8천만원의 고용부담금이 시민 혈세로 낭비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하중환 대구시의원(달성군1·사진)은 12일 대구의료원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대구의료원의 장애인 고용 의무 외면으로 고용부담금이 크게 늘었다”며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을 촉구했다.

하 시의원에 따르면 올해 기준 공공기관의 장애인의무고용률은 3.8%이지만 대구의료원의 고용률은 1.54%에 그쳤다. 장애인 고용률이 최근 3년간 하락하면서 고용부담금은 1억1천여만원에서 1억8천만원으로 56% 이상 증가했다.

하 시의원은 “서울·부산·인천 등 주요 도시의 의료원들은 장애인 고용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반면 대구의료원만 유독 역행하고 있다”며 “전국 의료원 중 대구의료원이 장애인 의무고용 불이행 기관 명단에 이름을 올린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고 비판했다.

또 “대구시 산하 기관 전체가 연간 6억원의 고용부담금을 납부하고 있는데 대구의료원 한 기관이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시민의 혈세로 공공의료기관이 장애인 고용 의무를 지키지 않아 납부금으로 문제를 덮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질책했다.

이에 김시오 대구의료원장은 “장애인 고용문제에 대해 책임을 통감하고 있다”며 “표준사업장 설립 등 다양한 고용확대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이지연기자 ljy@idaegu.co.kr
저작권자 © 대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