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태AI센터 설립 국제협력 주도
‘AI 이니셔티브’ 실행 계획 빌표
경상북도가 2025 APEC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APEC AI 이니셔티브’의 후속 이행을 뒷받침하고 아시아태평양 AI센터 설립과 국제 AI 협력 생태계 조성에 주도적 역할을 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는 지역의 산업·기술·문화적 강점을 바탕으로 글로벌 AI 협력의 실질적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전략적 선언이다.
경북도는 13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APEC AI 이니셔티브 연계 경상북도 AI 협력 및 실행계획(안)’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2025 APEC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APEC AI 이니셔티브(2026~2030)’의 후속 조치로, 한국이 주도하는 ‘아시아태평양 AI센터(아·태AI센터)’ 설립과 역내 AI 협력 생태계 구축을 위한 경북도의 실질적 기여를 담고 있다. APEC 정상들은 AI를 혁신과 생산성 향상의 핵심 동력으로 규정하며 회복력 있는 성장과 포용적 번영을 위한 공동 비전을 제시했다. 특히 ‘경주선언’에는 한국 주도의 아·태AI센터 설립이 명시되며 기술 격차 해소와 정책·표준·윤리 협력의 거점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경북도는 APEC 정상회의 개최 경험과 자동차 부품, 이차전지, 철강, 전자, 에너지 등 산업 강점을 바탕으로 산업 AI 실행모델 구축의 최적지로 평가받고 있다. 포스텍(POSTECH)·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애플제조업R&D지원센터 등 세계적 연구기관과의 산학연 협력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으며 경주의 역사문화 자산은 K-컬처와 연계된 독창적 AI 국제협력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기술과 문화의 융합은 경북만의 차별화된 글로벌 AI 전략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행계획은 △AI 표준·정책·가이드라인 연구를 통한 APEC 내 AI 전환 추진 △40MW급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유치 및 ‘AI 새마을 아카데미’를 통한 역량 강화 △전력 자급률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AI 인프라 생태계 조성 등을 포함한다. 특히 산업 AI 모델 구축에 필요한 데이터 공유·활용의 표준화를 주도해 신뢰 기반의 AI 생태계를 조성하고 회원국 간 협력의 촉진자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경북도는 AI 기술의 포용적 확산을 위해 중소기업과 지역 산업을 대상으로 맞춤형 실습·교육 과정을 확대하고 다양한 계층의 AI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국제 협력 네트워크인 ‘글로벌 CEO 서밋’ 등을 통해 인구, 의료, 교육, 도시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정책 허브로서의 역할을 강화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APEC AI 이니셔티브는 인류 공동번영의 새로운 출발점”이라며 “경북을 아시아태평양을 선도하는 AI 협력의 중심지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이번 실행계획을 통해 ‘혁신·포용·신뢰·협력’이라는 APEC의 핵심 가치를 실천하며 지역과 세계를 연결하는 AI 협력 플랫폼을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김상만기자 dgdesk@idaegu.co.kr
경북도는 13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APEC AI 이니셔티브 연계 경상북도 AI 협력 및 실행계획(안)’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2025 APEC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APEC AI 이니셔티브(2026~2030)’의 후속 조치로, 한국이 주도하는 ‘아시아태평양 AI센터(아·태AI센터)’ 설립과 역내 AI 협력 생태계 구축을 위한 경북도의 실질적 기여를 담고 있다. APEC 정상들은 AI를 혁신과 생산성 향상의 핵심 동력으로 규정하며 회복력 있는 성장과 포용적 번영을 위한 공동 비전을 제시했다. 특히 ‘경주선언’에는 한국 주도의 아·태AI센터 설립이 명시되며 기술 격차 해소와 정책·표준·윤리 협력의 거점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경북도는 APEC 정상회의 개최 경험과 자동차 부품, 이차전지, 철강, 전자, 에너지 등 산업 강점을 바탕으로 산업 AI 실행모델 구축의 최적지로 평가받고 있다. 포스텍(POSTECH)·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애플제조업R&D지원센터 등 세계적 연구기관과의 산학연 협력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으며 경주의 역사문화 자산은 K-컬처와 연계된 독창적 AI 국제협력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기술과 문화의 융합은 경북만의 차별화된 글로벌 AI 전략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행계획은 △AI 표준·정책·가이드라인 연구를 통한 APEC 내 AI 전환 추진 △40MW급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유치 및 ‘AI 새마을 아카데미’를 통한 역량 강화 △전력 자급률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AI 인프라 생태계 조성 등을 포함한다. 특히 산업 AI 모델 구축에 필요한 데이터 공유·활용의 표준화를 주도해 신뢰 기반의 AI 생태계를 조성하고 회원국 간 협력의 촉진자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경북도는 AI 기술의 포용적 확산을 위해 중소기업과 지역 산업을 대상으로 맞춤형 실습·교육 과정을 확대하고 다양한 계층의 AI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국제 협력 네트워크인 ‘글로벌 CEO 서밋’ 등을 통해 인구, 의료, 교육, 도시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정책 허브로서의 역할을 강화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APEC AI 이니셔티브는 인류 공동번영의 새로운 출발점”이라며 “경북을 아시아태평양을 선도하는 AI 협력의 중심지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이번 실행계획을 통해 ‘혁신·포용·신뢰·협력’이라는 APEC의 핵심 가치를 실천하며 지역과 세계를 연결하는 AI 협력 플랫폼을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김상만기자 dgdesk@idaeg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