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연구회 용역 최종보고회
지역 읍성별 활용전략 등 논의

경북도의회 의원연구단체인 ‘경상북도 읍성문화 전승 방안 연구회’는 최근 경상북도 읍성 보전 및 활용방안 수립을 통한 활성화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갖고 읍성별 활용전략, 문화콘텐츠 개발 방향, 지역경제 연계 모델 등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정책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
보고회에서는 읍성별 특성 기반의 맞춤형 활용모델 확정, 스토리텔링·체험형 프로그램 중심 문화콘텐츠 개발, 지역 축제·상권·관광자원과 연계한 경제 활성화 전략, 중장기 실행계획 및 관련 조례 제정 등을 주요 방향으로 제시했다.
또 포항 장기읍성, 연일읍성, 경주읍성, 영천읍성, 고령 주산성 일대 등 국내 사례를 분석해 원형 보존과 외곽권 활용을 병행하는 이중 관리 전략과 지역민 참여형 문화 플랫폼 운영 모델, 야간관광 및 디지털 콘텐츠 기반 다양한 체험형 관광상품화 방안도 제안했다.
연구 책임자인 이현석 플랜비 대표는 “이번 연구는 경북 읍성이 지닌 역사적 가치, 경관 자원, 생활문화적 잠재력을 다시 확인하는 계기였다”며 “읍성을 단순한 유적이 아닌 지역 문화콘텐츠와 체험관광의 중심 공간으로 재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석영 대표의원은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조례 제정, 지자체 협력 강화, 문화·관광 분야 정책사업 발굴 등을 추진해 읍성이 지역민의 일상과 방문객의 추억이 되는 살아있는 역사공간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상만기자 dgdesk@idaegu.co.kr
